질문과답변

질문과답변 목록

밍키넷: 해외 성인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밍키넷 막힘

페이지 정보

두인살차 (103.♡.63.136) 25-06-08 00:36 0회 0건

본문


1. 개요



밍키넷은 대한민국을 포함한 한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인 사이트입니다. 주요 컨텐츠로는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웹툰, 스포츠토토, 토렌트 등이 있으며, 커뮤니티 활동은 제한적입니다. 사이트는 HTTPS 주소로 운영되며, 해외 서버를 통해 제공됩니다.



2. 접속



밍키넷은 HTTPS 주소를 사용하여 대한민국 내에서 한때 차단되지 않고 접속이 가능했으나, 2018년 이후 정부의 해외 불법 사이트 차단 정책에 따라 VPN을 사용하지 않으면 접속이 불가능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PC나 모바일 환경에서 접속을 위해 우회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해외 서버로 운영되고 있어 국내 규제에 대해 자유롭습니다



3.합법인가 불법인가


해외에서는 명백히 합법인 사이트로, 성인 컨텐츠가 허용되는 국가에서는 법적 문제가 없습니다. 하지만 대한민국 내에서는 HTTPS 차단 이후 사실상 불법으로 간주됩니다. 대한민국은 포르노 자체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밍키넷 역시 준 불법 사이트로 취급됩니다.



키워드: 밍키넷, 성인 사이트, 성인 동영상, 성인 만화, VPN 우회, HTTPS 차단, 불법 사이트, 해외 서버, 대한민국 법, 포르노, 웹툰, 스포츠토토, 밍키넷 트위터, 97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5일 일론 머스크와의 관계가 파국을 맞자, 소셜미디어에 “우리 예산에서 수십억, 수천억 달러를 절약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에 대한) 정부 계약과 보조금을 끝내는 것이다. 바이든이 그걸 안 한 게 늘 의아했다”고 썼다.
그러자 스페이스X의 창업자ㆍCEO인 머스크는 즉각 “어디 그렇게 해보라”며 “우리 계약을 취소하겠다는 대통령 발언을 고려할 때, 드래곤 우주선을 즉시 퇴역시키는 절차를 밟겠다”고 썼다. 드래곤 우주선(캡슐)은 유인ㆍ화물 우주선인 드래곤 2로, 일론의 스페이스X가 만든 우주선이다. 나사(NASAㆍ미 항공우주국)와 계약을 맺고, 약 400㎞ 고도에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과 지구 사이를 오간다.

릴게임총판


트럼프 대통령이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와 맺은 정부 계약을 끊겠다고 협박하자, 머스크는 "즉시 드래곤 우주선을 퇴역시키겠다"고 맞받았다. 스페이스X의 드래곤 우주선은 현재 국제우주정거장을 오가는 미국의 유일한 교통수단이다./AFP 연합뉴스


개미들닷컴
트럼프는 머스크를 ‘협박’했는지 몰라도, 트럼프가 실제로 미국 정부와 스페이스X와의 로켓 발사 계약을 끊으면 미국의 군사ㆍ안보 우주 프로그램은 막대한 타격을 받게 된다.
스페이스X의 팰컨 9ㆍ팰컨 헤비와 같은 로켓은 미 국방부의 미사일 경보ㆍ전장(戰場) 통신ㆍ정밀 유도 무기ㆍ정찰 등에 사용되는 극비 위성들과 우주 실험 무기들을 쏘아 올린다운수장비관련주
.
작년에 전세계의 총 로켓 발사 건수는 263건이었는데, 이 중 절반(50.1%)이 스페이스X의 134건이었다. 2위는 중국 전체가 발사한 68건이었다.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오리진을 비롯한 다른 우주기업들은 형편없이 뒤졌다.
보수 성향의 미국 싱크탱크인 AEI는 “스페이스X가 작년에 궤도에 진입시킨 위성은 전체의 84%모바일 릴게임
”라고 분석했다. 스페이스X가 없으면, 미국의 우주 탐사ㆍ안보 프로그램이 돌아가지 않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NASA가 신뢰하는 유일한 ISS 교통 수단
2006년 ‘스페이스 익스플로레이션 테크놀로지스 코퍼레이션’(스페이스X)이라는 잘 알려지지 않은 회사가 NASA로부터 국제우주정거장(ISS)에 화물과 우주비행사를 바다이야기게임
수송하는 계약을 따냈다. 그때까지 이 회사는 한 번도 우주 궤도로 로켓을 발사한 적이 없었다.
그러나 스페이스X는 2010년 강력한 첫 팰컨 9을 발사했고, 2012년부터 이 로켓과 드래곤 캡슐로 ISS에 화물을 실어 나르기 시작했다. 2020년 5월부터는 미 우주비행사들을 태운 크루(Crew) 드래곤이 ISS와 지구를 오갔다. 이후 스페이스X는 미국의 민간ㆍ군사 우주 개발의 핵심 축이 됐다.
NASA도 특정 기업 ‘올인’에 따르는 위험성을 고려해, 여러 우주기업과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다른 기업들은 계속 실패를 거듭했다. 2014년 스페이스X와 함께 NASA의 ISS 유인 수송 계약을 맺은 보잉의 스타라이너(Starliner) 우주선은 작년 6월에야 처음으로 2명의 우주비행사를 ISS로 보냈으나 추력기가 고장났다. 이들은 9개월 간 ISS에 갇혀 있다가 지난 3월에야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곤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보잉 사의 스타라이너 우주선이 고장 나면서 국제우주정거장에 9개월 간 체류해야 했던 미국의 두 우주비행사는 지난 3월18일 스페이스X의 크루 드래건 우주선을 타고 플로리다주 앞바다에 귀환했다./로이터 연합뉴스


NASA와 ISS 화물 운송 계약을 맺고 21회 운영되던 노스럽 그러먼 사의 시그너스(Cygnus) 화물 우주선은 지난 3월 발사대로 이동 중에서 파손돼 사용이 중단됐다. 이밖에 시에라 스페이스 사의 ‘드림 체이서(Dream Chaser)’ 우주선은 아직 시험 비행도 하지 못했다.
스페이스X의 드래곤 캡슐(우주선)이 없으면 NASA는 ISS에 도달할 수 있는 미국 자체의 교통수단은 하나도 없게 된다.
26년이 돼 노후한 ISS는 2030년이면 퇴역한다. 이 우주실험실을 지구 대기권으로 밀어낼 우주선도 현재 스페이스X가 제작하고 있다.
스페이스X의 우주선 외에, 미국 우주비행사를 ISS로 보낼 수 있는 대체 수송 수단은 러시아의 소유즈 로켓과 우주선이다. 실제로 미국의 NASA는 2011년 우주왕복선(Space Shuttle) 프로그램을 종료한 이래, 러시아의 소유즈 로켓ㆍ우주선으로 ISS에 우주비행사를 보냈다.
NASA는 2006~2020년 소유즈 티켓을 모두 71석 구매하고 40억 달러를 러시아에 지불했다. 이 탑승 가격은 계속 올라서 2020년엔 9030만 달러가 됐다. 소유즈 캡슐의 탑승 인원은 3명으로, 크루 드래곤 캡슐(4명)보다 적다.
그런데 2020년 5월 30일 스페이스X가 크루 드래곤으로 미 우주비행사를 ISS에 보내면서 ‘저가 우주비행’ 시대를 열었다. 크루 드래곤의 1인 탑승 가격은 5500만 달러다. 크루 드래곤이 성공적으로 ISS에 도착하자, 당시 대통령이었던 트럼프는 발사 직후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값진 선물…우주왕복선보다 훨씬 적은 비용으로 우주비행사를 궤도로 보낼 첨단 우주선을 갖게 됐다”며 머스크에게 기립박수를 보냈다.
저궤도까지 물체를 보내는 ㎏당 발사 비용은 아폴로 달 착륙 로켓(새턴 V)의 경우 6400달러, 우주왕복선은 무려 5만4500달러였다. 그런데 1단 로켓이 회수ㆍ재사용되는 팰컨 시리즈 로켓은 kg당 1500달러에 불과하다. 스페이스X가 개발 중인 스타십(Starship)은 이를 10~100달러(약 13만6000원)까지 낮춘다. 서울~뉴욕 간 국제특급우편으로 1㎏을 보내는 비용이 3만3000원이다.
당연히 미 국방ㆍ민간 우주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싸고 훨씬 안전한 스페이스X의 로켓에 의존하게 됐다. 머스크는 나중에 소셜미디어 X에 “흥분을 가라앉히고 다시 생각해보는 게 좋겠다. 오케이, 드래곤은 퇴역시키지 않겠다”고 썼다.
◇아르테미스 3단계 달 착륙 프로그램도 차질
NASA는 또 스페이스X의 차세대 수퍼 로켓ㆍ우주선인 스타십 개발에도 40억 달러를 투자했다. 스타십 우주선은 2026년말~2027년초 우주비행사들을 달에 실제로 착륙시키는 아르테미스 3단계의 우주선으로 쓰인다.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오리진이 만드는 달 착륙선 ‘블루 문’은 아르테미스 5단계가 돼야 달에 착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트럼프 말대로 모든 정부 계약을 끊으면, 중국보다 먼저 달의 남극에 우주인을 보내겠다는 NASA 계획은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
◇국방ㆍ안보 위성들, 우주과학 실험도 스톱
미국 군사ㆍ정보기관의 극비 위성도 스페이스X를 통해 발사된다. 미 중앙정보국(CIA)과도 밀접한 국방부 산하 국가정찰국(NRO) 정찰 위성도 작년에 6번 이 회사 로켓으로 발사됐다. 올해도 5회 발사가 예정돼 있다. 미군의 극비 미니우주왕복선 X-37B과 여러 군사적 목적의 탑재물도 스페이스X 로켓으로 우주에 배치된다.



작년 10월 24일 미 국방부 산하 미 정찰국(NRO)의 차세대 스파이 위성이 팰컨 9 로켓에 실려, 캘리포니아주의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고 있다. /스페이스X


스페이스X는 또 미군과 미 정부에 우주에서의 전투 능력과 안정적인 위성 통신망을 제공하는 스타쉴드(Starshield) 위성도 제작한다. 이미 미 전투기와 대통령 전용 헬기, 항모 에이브러햄 링컨에 장착돼 있다. 스타쉴드는 우크라이나군에게 인터넷ㆍ통신 능력을 제공하는 스타링크 민간 군집 위성보다 보안과 적 공격에 대한 복원력이 훨씬 강화된 것이다.
미 육군의 지휘ㆍ통제ㆍ통신ㆍ네트워크(C3N) 프로그램 책임자인 마크 키츠는 작년 8월 한 컨퍼런스에서 “열 발자국만 걸어도 스타쉴드 접속 단말기를 마주칠” 정도로 이미 미군이 전장에서 스타쉴드 위성에 의존한다고 말했다.
미 우주군(Space Force)도 최근 스페이스X와 약 60억 달러의 발사 계약을 맺었다. 이는 경쟁사인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54억 달러, 블루오리진(24억 달러)보다 많다. 우주군은 스페이스X의 스타십 로켓 사용 가능성도 검토하고 있다. 미 군사전문 매체인 TWZ는 “트럼프와 머스크의 갈등은 미국의 국가 안보와 우주 전략 전반을 뒤흔들 수 있는 중대 사안”이라고 평했다.
스페이스X의 로켓을 대체할 ULA 사의 벌컨(Vulcan) 로켓이나 블루 오리진의 뉴글렌(New Glenn)로켓은 최근에야 첫 발사에 성공해, 스페이스X 로켓과 같은 축적된 성공 실적이 없다. 비용도 더 비싸다.
◇스페이스X의 매출, 내년엔 NASA 예산 넘어
지난 3일 머스크는 스페이스X의 올해 매출을 약 155억 달러(약 21조 2350억 원)로 전망했다. 이중 NASA 관련 매출은 11억 달러다. 스페이스X는 비상장 기업이라 재무정보를 거의 공개하지 않았다. 머스크는 내년 스페이스X 매출은 NASA의 내년 예산(188억 달러)을 넘어설 것이라고 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작년 말 기업 가치가 3500억 달러(약 480조 원)인 것으로 추정됐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7573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